가상 네트워크 환경 설계도
'컴퓨터네트워크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sh 터널링을 이용한 원격 데스크탑 접속 (0) | 2015.03.27 |
---|---|
윈도우 원격 접속 포트 변경 (0) | 2014.09.04 |
[vyatta] 라우터 기본설정 (0) | 2014.09.03 |
ssh 터널링을 이용한 원격 데스크탑 접속 (0) | 2015.03.27 |
---|---|
윈도우 원격 접속 포트 변경 (0) | 2014.09.04 |
[vyatta] 라우터 기본설정 (0) | 2014.09.03 |
아파치 서버가 구축되어 있다는 전제.
/etc/apache2/apache2.conf 파일 제일 하단에 다음 내용을 추가
아파치 서비스 재시작 후 IP/phpmyadmin 으로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.
[vim] 내장 스크립트 설정 (man page 사용) (0) | 2014.10.08 |
---|---|
[xrdp] 우분투 GUI 원격제어 설정 (4) | 2014.10.07 |
우분투 한영키 (0) | 2014.10.04 |
우분투 설치 USB 만들기 (0) | 2014.10.04 |
[vim] 에디터 설치 (0) | 2014.08.26 |
selectKey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자
insert 시 조건에 따라 다른 값을 넣고자 하면 selectKey를 이용하여 전달된 자바 빈 또는 map에 원하는 값을 지정할 수 있다.
keyProperty 이 id로 value 값에 #{id} 형식으로 사용한다.
1. insert 문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.
2. insert문 한 개에 한 개의 selectKey만 사용이 가능하다.
spring Framework 파일 업로드 (0) | 2014.09.29 |
---|
one-sample t-test를 포함한 모든 t-test는 자료가 정규분포를 따를 경우 사용한다.
검정통계량 t=0.653이다.
의 값은 다음과 같다.
의 값은
1-pt(t,df=9) 이다.
※df 는 degree of freedom 자유도 이다.
몬테칼로 추정치는 해답을 모두 찾기 위해서 검사하리라 생각되는 마디의 총 개수를 추정한 것이다. N-여왕말 문제를 백트래킹 기법으로 풀어 몬테칼로 추정값을 구해보도록하자.
[게임] lightbot 게임 간단히 만들기 (0) | 2014.09.03 |
---|---|
[알고리즘] hamiltonian (되추적) (0) | 2014.08.26 |
위 문제에 정답은 없다. 가 정답
[게임] lightbot 게임 간단히 만들기 (0) | 2014.09.03 |
---|---|
[알고리즘] N-여왕말 문제(몬테칼로 추정치 - 되추적) (1) | 2014.08.26 |
/etc/vim/vimrc 파일을 수정하여 Vim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.
[vim] 내장 스크립트 설정 (man page 사용) (0) | 2014.10.08 |
---|---|
[xrdp] 우분투 GUI 원격제어 설정 (4) | 2014.10.07 |
우분투 한영키 (0) | 2014.10.04 |
우분투 설치 USB 만들기 (0) | 2014.10.04 |
[phpMyAdmin] db관리 (0) | 2014.09.03 |
독립변수의 자료형을 factor(요인)으로 변경
선이 만나는 것은 교호작용이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.
종속변수 : 내키, 독립변수 : 종교, 성별
interaction을 제외하고 두 개의 그룹변수만 모형에 넣으면 된다.
pie 그래프 그리기 (0) | 2014.09.03 |
---|---|
one-sample t-test (0) | 2014.08.26 |
일원분산분석 (0) | 2014.08.26 |
기술통계 (0) | 2014.08.26 |
R 맛보기 (0) | 2014.08.26 |
tapply() 함수를 사용하여 sex에 대한 myheight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다.
lm()함수로 회귀분석을 한 후 anova()는 분산분석표를 구한다.
다음 명령을 통해 기본 가설을 진단한다.
원래의 집단 전체를 모집단이라하고 추출된 일부를 표본이라고 한다.
|
명령어 |
실습 |
표본수 |
length() |
|
평균 |
mean() |
|
분산 |
var() |
|
표준편차 |
sd() |
|
표준오차 |
sd()/sqrt(length()) |
|
변동계수 |
sd()/mean() |
|
기본으로 제공되는 데이터 cars의 speed 열을 가지고 기본 통계명령어를 테스트 하였다.
이에 대한 사분 범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.
사분위수를 그래프로 나타내 보자.
기본적인 히스토그램의 출력 명령이다. 아무 옵션도 없이 hist 함수를 사용하면 y축이 도수로 표현되어 그래프가 생성된다.
다음 실습은 옵션을 추가하여 도수가 밀도로 나타내어지게 한다.
두 번째 lines 명령으로 히스토그램에 분포선을 추가한다.
다음 그래프를 통해 정규분포에 얼마나 근접한지 알 수 있다.